서울 지하철 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에서 동대문구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도시 철도 노선이다. 1974년 8월 15일 청량리역~서울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경부선, 경인선, 경원선, 장항선 등으로 직결 운행 구간이 연장되었다. 1939년 경춘철도주식회사가 같은 구간의 지하철 건설을 계획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무산되었고, 1968년 서울 전차 폐지 이후 대중교통 필요성이 제기되어 건설이 추진되었다. 일본의 기술 협력과 엔 차관을 통해 건설되었으며, 서울교통공사와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한다. 총 10개의 역이 있으며,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에서는 좌측 통행 방식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1호선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197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상파울루 지하철
상파울루 지하철은 1974년 개통 이후 6개 노선이 운영 중이며, 2019년 평일 평균 530만 명의 승객을 수송하는 상파울루 시민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도시 교통망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서울미래유산 - 한강대교
한강대교는 1917년에 완공된 한강인도교를 전신으로 하며,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었으나 1958년에 재건되었고, 1984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020년에는 서울특별시 등록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었다. - 서울미래유산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서울 지하철 1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노선명 | 서울 지하철 1호선 |
노선색 | '#0d3692' |
로고 크기 | 40px |
![]() | |
국가 | 대한민국 |
노선망 | 서울 지하철 |
기점 | 서울역역 |
종점 | 청량리역 |
역 수 | 10 |
개업 | 1974년 8월 15일 |
소유자 | 서울특별시 |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
노선 거리 | 7.8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복선 (좌측 통행)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
한국어 표기 | |
한국어 | 서울교통공사 1호선, 서울메트로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
한글 | 서울교통공사 1호선, 서울메트로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
한자 | 서울교통공사1號線, 서울메트로1號線, 首都圈電鐵1號線, 서울地下鐵1號線 |
가타카나 | ソウルギョトンゴンサ・イルホソン, ソウルメトゥロ・イルホソン, スドックォン・チョンチョル・イルホソン, ソウル・チハチョル・イルホソン |
히라가나 | ソウルこうつうこうしゃ・いちごうせん, ソウルメトロ・いちごうせん, しゅとけん・でんてつ・いちごうせん, ソウル・ちかてつ・いちごうせん |
영어 | Seoul Metro Line1, Metro Line1, Seoul Subway Line1 |
로마자 표기 | Seoul Gyotonggongsa 1hoseon, Seoul Meteuro 1hoseon, Sudogwon Jeoncheol 1hoseon, Seoul Jihacheol 1hoseon |
기타 | |
관련 문서 | 수도권 전철의 운행 계통 |
참고 자료 | 서울 지하철 1·3·4호선은 한 지붕 두 가족 같은 노선이라도 운영 기관 달라요 |
2. 역사
한국 최초의 지하철로, 1974년 8월 15일 청량리역~서울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같은 날 경부선 수원역까지와 경인선 전선, 경원선 성북역(현 광운대역)까지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 노선 색상은 감색이다(2000년까지는 적색). 과거에는 종로선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개통 및 운행 구간 연장은 다음과 같다.
날짜 | 내용 |
---|---|
1985년 4월 25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창동역까지 연장. |
1986년 9월 2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의정부역까지 연장. |
1987년 10월 5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의정부북부역(현 가릉역)까지 연장. |
2003년 4월 30일 | 경부선 직결 운행 구간을 병점역까지 연장. |
2005년 1월 20일 | 경부선 직결 운행 구간을 천안역까지 연장. |
2005년 12월 21일 | 신설동역~동대문역 사이에 동묘앞역 개업. |
2006년 12월 15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소요산역까지 연장.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신창역까지 직결 운행 개시. |
2010년 2월 26일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까지 직결 운행 개시. |
2023년 12월 16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연천역까지 연장. |
2. 1. 기원
1939년 사철 회사인 경춘철도주식회사가 현재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동일한 구간의 지하철을 건설하여 경춘선과 연계하는 것을 계획하였고 총독부로부터 착공 인가까지 받았으나[5] 자금이 부족하여 실행되지 못하였다.1968년 서울전차가 폐지되면서 서울로 이주해 온 도시 노동자들에게 대량 수송이 가능한 대중교통의 필요성이 커졌다. 대한민국 철도청이 지하철에 대해 연구하였으나 다른 과제로 인해 묻혀버렸고, 당시 서울특별시장 윤치영과 김현옥에 의해 최초의 지하철 건설이 시작되었다.
2. 2. 1호선 건설의 본격 추진

철도청장을 지냈던 양택식이 김현옥 후임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부임하면서 재임 중에 지하철을 건설하겠다고 하였으나 김학렬 당시 경제부총리의 반대에 부딪혔다. 박정희는 결국 양택식의 편을 들어주었고, 일본과의 기술 제휴를 통해 지하철을 건설하겠다고 하였다.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원선 전철화 사업은 엔 차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을 받았다.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달러의 차관을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했다. 그 때문에, 현재 시점에서도 지시 확인 등 기본적인 운용은 일본식이다.
종로선(서울 1호선)은 일반철도와의 직결 운행을 도입하였다. 이는 기존 청량리 - 성북, 서울 - 인천·수원간 철도를 (복선) 전철화하여 1호선과의 직결을 통해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에 통근형 전동차를 운행하여 서울로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2. 3. 지하철 1호선의 개통
1971년부터 3년간 건설 공사 끝에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역~청량리역)과 국철(기존선 전철화)이 공식 개통되었다.[1] 개통식은 광복절 기념행사 도중 발생한 육영수 여사 피격 사건으로 인해 침울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졌으며, 이 사건으로 양택식 시장은 사퇴하고 구자춘이 새로운 서울특별시장으로 부임하게 되었다.[1]2. 4. 개통 후
1974년 8월 15일 개통 초기에는 '지옥철'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혼잡했으나, 서울 지하철 2호선이 1984년에 완전 개통되고,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서울 지하철 4호선이 1985년에 개통되면서 혼잡률이 크게 감소하였다. 1981년 9월 1일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현 서울교통공사)가 설립되어 운영을 맡게 되었다.[1]2005년 12월 21일에는 동대문역과 신설동역 사이에 서울 지하철 6호선과의 환승역인 동묘앞역이 신설되었다.[1]
2018년부터 서울특별시는 청량리역에서 망우역까지 4.5km 구간 연장을 검토 중이며, 이 사업이 확장되면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이 확장되는 첫 사례가 된다.[1]
'''개통 및 운행 구간 연장'''[1]
날짜 | 내용 |
---|---|
1985년 4월 25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창동역까지 연장. |
1986년 9월 2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의정부역까지 연장. |
1987년 10월 5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의정부북부역(현 가릉역)까지 연장. |
2003년 4월 30일 | 경부선 직결 운행 구간을 병점역까지 연장. |
2005년 1월 20일 | 경부선 직결 운행 구간을 천안역까지 연장. |
2006년 12월 15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소요산역까지 연장.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신창역까지 직결 운행 개시. |
2010년 2월 26일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까지 직결 운행 개시. |
2023년 12월 16일 | 경원선 직결 운행 구간을 연천역까지 연장. |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총 연장 7.8km로 현재 대한민국의 도시 철도 중 가장 짧지만, 이 노선을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경원선, 경부선, 장항선, 경인선 등을 경유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어느 운행 계통보다 방대한 연계성을 자랑한다. 이 곳에서 운행되는 운행 계통들은 대부분 인천광역시, 경기도나 충청남도 등지로 연계된다. 해당 노선은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두 회사가 운영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경원선 양주역, 경인선 인천역, 분당선 서동탄역까지 직통 운행하며, 복복선 구간에서는 완행(각 역 정차)으로만 운행한다.[1]
3. 운영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 중 유일하게 좌측 통행 방식인데, 대한민국 철도는 일본의 영향을 받아 건설된 것이 많아, 우마차, 차량, 철도 차량이 좌측 통행을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일반적인 철도 노선은 좌측 통행을 한다. 따라서 경부선이나 경원선과 같이 당초부터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된 노선과의 연계를 전제했기 때문에 1호선도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통행뿐만 아니라 차량, 토목, 신호 등 거의 대부분의 핵심 기술도 일본식 기술을 도입하였다.
3. 1. 노선 데이터
3. 2. 차량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및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1000 · 312000호대 전동차가 사용된다.[4]
사용 차량은 다음과 같다.
운행사인 한국철도공사는 직류 전철화를 채택하고 있으므로, 직류·교류 겸용 차량이 사용된다.
3. 3. 운행
서울교통공사 차량은 경원선 양주역, 경인선 인천역, 분당선 서동탄역까지 직통 운행하며, 복복선 구간에서는 완행선(각역 정차)만 운행한다.[1]
3. 4. 좌측 통행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운영 구간 중 유일하게 좌측 통행 방식이다. 대한민국 철도 환경은 일본의 영향을 받아 건설된 것이 많아, 우마, 차량, 철도 차량이 좌측 통행을 한다. 이로 인하여 일반적인 철도 노선은 좌측 통행을 한다. 따라서 경부선이나 경원선과 같이 당초부터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된 노선과의 연계를 전제했기 때문에 1호선도 좌측 통행 방식으로 설계되었다. 통행뿐만 아니라 차량, 토목, 신호 등 거의 대부분의 핵심 기술도 일본식 기술을 도입하였다.
4. 역 목록
역번호 | 한글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접속 노선 | 역간 거리 | 누적 거리 | 소재지 |
---|---|---|---|---|---|---|---|
133 | 서울역[6] | Seoul Station | 서울驛 |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KTX | 0.0 | 0.0 | 서울특별시 중구 |
132 | 시청 | City Hall | 市廳 | 2호선 | 1.1 | 1.1 | |
131 | 종각 | Jonggak | 鐘閣 | 1.0 | 2.1 | 서울특별시 종로구 | |
130 | 종로3가 | Jongno 3(sam)-ga | 鐘路3街 | 3호선 5호선 | 0.8 | 2.9 | |
129 | 종로5가 | Jongno 5(o)-ga | 鐘路5街 | 0.9 | 3.8 | ||
128 | 동대문 | Dongdaemun | 東大門 | 4호선 | 0.8 | 4.6 | |
127 | 동묘앞 | Dongmyo | 東廟앞 | 6호선 | 0.6 | 5.2 | |
126 | 신설동 | Sinseol-dong | 新設洞 | 2호선 우이신설선 | 0.7 | 5.9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125 | 제기동(한국건강관리협회) | Jegi-dong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祭基洞 (韓國健康管理協會) | 0.9 | 6.8 | ||
124 |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7] | Cheongnyangni (University of Seoul) | 淸凉里 (서울市立大入口) |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 1.0 | 7.8 |
5. 이용객 변동
6. 일본의 관여
서울 지하철 1호선 건설과 경부·경인·경원선 전철화 사업은 엔 차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차량·신호·통신 분야 등에서 일본의 기술 협력을 받았다. 개업 당시 전철은 모두 일제였다. 지하철 건설에 일본은 8000만달러의 차관을 제공하고, 장기간에 걸쳐 현지 지도 및 일본 국내 연수를 실시했다.[1]
한국 전쟁의 영웅이자 교통부 장관이었던 백선엽이 일본 국토교통대신 하시모토 토미자부로에게 지원을 요청하면서 한일 합동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하시모토 토미자부로는 요도고 납치 사건 대응에 대한 사의를 표하며 "도움이 될 만한 일이 있다면 말씀해주십시오"라고 제안했었다.[1]
김형욱에 따르면, 지하철 차량 도입에 관여한 미쓰비시상사·마루베니·미쓰이물산·니쇼이와이(현 소지츠) 등 일본 상사 연합으로부터 기시 노부스케 등 한일 실력자들에게 리베이트가 지급되었다고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切手に描かれたソウル 第14回 「地下鉄ソウル駅」
http://www.toyo-keiz[...]
東洋経済日報
2020-05-07
[2]
뉴스
서울 지하철 1·3·4호선은 한 지붕 두 가족 같은 노선이라도 운영 기관 달라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2-02-07
[3]
뉴스
지하서울에 지상의 환성 가득
동아일보
1975-08-15
[4]
일반
[5]
웹사이트
서울에도地下鐵道(지하철도)
http://newslibrary.n[...]
1939-06-01
[6]
일반
[7]
일반
[8]
웹사이트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
http://www.seoulmet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비 그쳤나 했는데···인천 또 폭우로 도로·주택 침수
출근길 폭우에 수도권 1호선 부천~중동 구간 운행 일시 중단
'물폭탄' 인천…도로·철로 끊기고 침수·붕괴·땅꺼짐에 사망자도
수도권에 ‘1시간 150㎜ 물폭탄’…긴급 대피·주택 침수·철도 운행 중단 ‘피해 속출’
폭우에 선로 물에 잠겨…인천서 한때 열차 운행 차질
"인천역 앞이 강으로 변했어요"…인천에 피해 신고 폭주
이문동 59㎡가 13억 … 동북권 뉴타운 새판
"국가유공자 무임승차 비용 달라"…'37억 소송' 무슨 일
폭염 후 기습폭우에 퇴근길 곳곳 혼란…도로·하천 통제
기습폭우에 지하철 신도림∼구로 한때 운행 중단
서울 1호선 용산역 부근서 택시 3대 추돌사고…1명 경상
퇴근길 서울 지하철 1호선 시청역서 출입문 고장…승객 환승
서울 지하철 첫차 새벽 5시로 변경…막차도 30분 '일찍'
서울 브랜드 대단지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19일부터 청약 돌입
지하철 개찰구 안 열리자 '역무원 폭행'...쓰러지자 '싸커킥' | JTBC 뉴스
"문 안 닫혀" 1호선 남영역서 무슨 일…승객 400명 환승
서울역서 1호선 전동차 상부 화재…인명피해·열차 지연 없어
서울 지하철 1호선 열차 한때 지연…출근길 불편
경찰차에 포위된 채 '쾅쾅'…도봉역 난동 영상 확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